문득 떠오르는 궁금증에 글을 올려봅니다.
1. 한 파일에 3개의 함수(함수1, 함수2, 함수3)가 있다면
all_lowering_passes
all_ipa_passes
all_passes
과 같은 main pass(??) 에 대하여 각 함수별로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(아래처럼)
함수 1 의 all_lowering_passes
함수 2 의 all_lowering_passes
함수 3 의 all_lowering_passes
함수 1 의 all_ipa_passes
함수 2 의 all_ipa_passes
함수 3 의 all_ipa_passes
함수 1 의 all_passes
함수 2 의 all_passes
함수 3 의 all_passes
의문이 드는 점은 tree or rtl dump 를 하게되면 생성되는 각 출력 파일들이 몇번째 함수의 optimization을 수행하고 난 후의 dump 인지 궁금하네요. 마지막 함수(예에선 함수 3)가 호출된 후라고 예상하였는데 그렇지 않은듯한 결과가....--.
2. 생성된 RTL 은 pass_final(rest_of_handle_final)에서 recog()함수의 recognition 과정(생성된 RTL을 define_insn등에서의 RTL과 match 하는 과정)을 통해 asm code로 emission 됩니다.
recog()함수에서 predicate와 condition(define_insn 내의) 을 체크하는 부분을 확인하였고 constraint에 대한 체크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(제가 실수를 하지 않았다면요)
그래서 constraint 의 점검은 register allocation 시 할 것으로 예상했는데
그렇다면 이미 reg alloc 에서 constraint 점검을 끝내놓은 상황에서 코드 흐름상 나중에 있는 recog()에서 굳이 predicate을 체크해줄 필요가 있을까 입니다.
predicate 보다 constraint 가 더 restrictive 하다고 알고 있고 어떤 자료에선 predicate로 먼저 범위를 좁혀놓는 다는 해석을 본 기억나네요.
3. 프로그램을 만들때 필요한 함수들을 한 파일안에 집어넣어 놓는 것이 performance가 더 좋다??(performance 측면에서만)
LTO 가 없다고 가정하면 컴파일러가 수행하는 IPO(interprocedural optimization)는 파일내의 function 간의 optimization 을 할텐데
그렇다면 당연히 function들을 한 파일로 만들어 버리면 성능이 좋아져야 하는데... 너무 당연한 얘기에 의문을 갖는건지 모르겠습니다.^^
(물론 다른 요인으로 인해 달라 질 수 있겠지만 IPO에만 포커스를 맞춰 보았습니다)
글이 깔끔하지 못한점은 양해를 부탁드립니다^^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[공지] 컴파일러 및 가상머신 스터디 관련 Q&A 게시판 입니다. | woos | 2016.04.09 | 267 |
48 | 스터디 진행 방식에 대하여 [4] | 이드로이드 | 2013.06.17 | 2231 |
47 | 저번 스터디 토의 내용입니다. | 민재원 | 2013.06.11 | 1760 |
46 | 향후 스터디 진행방향은 어떻게 결정되었나요? | 민재원 | 2013.06.04 | 1776 |
45 | [토의] 다음 스터디 계획. [8] | 윤태현 | 2013.06.04 | 2143 |
44 | 연락처공유 [2] | 이드로이드 | 2013.06.04 | 2061 |
43 | 책 제본 관련 [8] | 민재원 | 2013.05.30 | 2334 |
42 | LLVM AST 자료 [1] | 민재원 | 2013.05.11 | 2234 |
41 | 스터디 문의 | 주원아빠 | 2013.04.26 | 1935 |
40 |
요청하신 자료입니다~
![]() | 소성은 | 2011.03.03 | 4527 |
» | 컴파일러 관련하여 약간 구체적인 질문들... [1] | 김경태 | 2011.04.18 | 5568 |
38 | glibc build | 김경태 | 2010.11.13 | 6000 |
37 |
과제 - Tiny-C Compiler의 AST
![]() | 정형준 | 2010.04.22 | 6296 |
36 |
컴파일러 과제
![]() | 김경태 | 2010.04.21 | 6507 |
35 | 프론트 엔드를 큰그림에서 이해하기 좋을거 같네요 | 이일열 | 2010.04.19 | 5743 |
34 | 현대 CPU구조라는 글인데요 좋네요 [1] | 이일열 | 2010.04.19 | 5696 |
33 |
저희집에서 모이는 건가요? 약도 올립니다.
[1] ![]() | 이일열 | 2010.04.09 | 8485 |
32 | 스터디 자리를 못잡았네요..ㅠㅠ [5] | 소두진 | 2010.04.05 | 8308 |
31 | GCC 분석 스터디 종료 | 백창우 | 2009.12.07 | 9507 |
30 | 이번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? [1] | 백창우 | 2009.11.14 | 9190 |
29 | 국제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(ACM-ICPC), 아시아 본선 부분 꼴뜽.... [4] | 김승겸 | 2009.11.07 | 14829 |
.
답변 감사합니다. 제 컴퓨터에선 홈페이지 로그인이 안되서 다른 컴퓨터로 접속중입니다 ㅎ
2번질문의 predicate , constraint 는 md 파일 내 define_X 에 등장하는 것들을 말씀드린것입니다. 둘다 machine 종속적인 오퍼랜드의 제약과 관련있습니다. 때문에 middle end 의 analysis 과정과는 직접적으로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... 간접적으로는 어떤 관련이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. ㅎㅎ
그리고 backend 볼때 GIMPLE 을 봐야한다는 말은 정말 공감하고 있습니다.